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LANGUAGE
ENGLISH
CHINESE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대학정보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전공자율선택제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검색 열기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전공자율선택제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모바일 메뉴 닫기
KOREAN
ENGLISH
CHINESE
아주광장
HOME
아주광장
대학정보
입학
교육
연구/산학
학사지원
대학생활
아주광장
미디어센터
공지사항
캘린더
미디어센터
커뮤니티
아주인칼럼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아주인칼럼
Total
2005건
,
68
/
401
게시글 검색
검색분류선택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검색
1670
[기고] 방송뉴스는 왜 구어적 활력을 획득해야 하나
위치 확인
[홍경수,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이태원에서 156명의 목숨이 희생된 어처구니없는 사고가 터졌다. 국가와 사회와 어른이 또다시 젊은 생명을 지켜주지 못하고 말았다. 강의실에서 만난 학생들의 얼굴을 보며 어른으로서 해줄 말을 찾지 못했다. 삼풍백화점이, 성수대교가, 세월호가 목숨을 앗아갔을 때 다짐했던 결심이 얼마나 허약했는지 수치스럽기만 하다. 방송 뉴스를 보았다. 방송 뉴스를 보아도 뾰족한 수가 없었다. 환경감시를 제대로 해서 앞으로 어떤 사고를 막아낼 수 있을지 확신이 서지 않았다. 방송 뉴스를 보며 느낀 점은 대형 참사가 일어나 156명의 생명이 사라졌는데도 슬픔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검정색 옷에 ‘근조’ 없는 검은 리본을 단 KBS 앵커들은 리본을 달았는지 안 달았는지 도무지 알 수 없었지만, ‘자율적으로 결정했다’는 사실을 보도 자료까지 배포해 알렸다. '당시 아직 병상에서 사투를 벌이고 있던 중상자들도 많았던 상황에서, 사망자에 대한 애도의 뜻을 담고 있는, '근조(謹弔)' 글자가 없는 검은 리본이 더 적절하다고 판단했고, 글자 없는 검은 리본이 더 깔끔해 보인다는 의견도 있었다’는 보도 자료의 내용은 궁색하기 짝이 없다. ‘자율성’을 지켰다는 변명으로는 고인과 유족 그리고 시청자들을 위로하고 함께 슬퍼하는 자세를 충분히 보이지 않은 이유가 납득이 되지 않았다. 검정색의 리본은 도무지 눈에 띄지 않아서, 애도를 표하고 있는지 아닌지 시청자들은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략)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74358
1669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1-10
4319
동영상
동영상
홍경수 교수.gif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68
[칼럼] 아무런 이유 없이 심란할 때
위치 확인
[조영호, 경영학과 명예교수] 최 사장은 화를 잘 내는 편이다. 특히 상대가 약속을 안 지킬 때 화가 난다. 그는 화가 나면, 가능한 한 그 자리에서 푼다. 상대에게 솔직히 이야기하는 것이다. 최 사장의 이런 모습을 처음 보는 사람은 상당히 당황한다. 그런데 몇 번 그런 경우를 당하다 보면, 당하는 처지에서도 크게 신경 쓰지 않게 된다. 최 사장이 정작 곤혹스러워하는 것은 화가 나는 상황이 아니다. 그것은 바로 '아무 이유 없이 마음이 심란한' 경우다. 누구에게 화가 난 것도 아니고, 무슨 일이 잘못된 것도 아니고, 누구를 탓할 것도 없는 것 같은데 이상하게 마음이 가라앉을 때가 있다. 특별히 감정이 어떻다고 이야기하기도 힘들다. 그냥 의욕이 떨어지고, 마음이 무거워지고, 사람 만나기도 싫고, 아무 일도 하기 싫은 그런 상태이다. 이런 때는 정말 무엇을 해야 할지 난감하다. (하략) http://www.ihsnews.com/45111
1667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1-08
5491
동영상
동영상
조영호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66
[칼럼] 흙 다시 만져보자
위치 확인
[김홍표, 약학대학 교수] 고층 아파트와 빵에는 공통점이 있다. 가루로 만들었다는 사실이다. 오늘날 건축물의 주재료는 콘크리트다.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물, 골재인 모래와 자갈을 섞어 만든 것으로 신축 아파트 공사장에 줄지어 선 레미콘 트럭 안에 든 회색빛 물질이다. 모래와 자갈을 결합하는 접착제인 시멘트는 점토나 석회, 광물을 2700도가 넘는 가마에서 구워 빻은 가루다. 시멘트 10, 물 15에 골재 75 비율로 잘 섞으면 콘크리트가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콘크리트의 주성분인 모래는 무엇일까? 너무 흔해서 오히려 정의하기 어려운 사정을 살펴 지질학자들은 지름이 0.0625~2㎜ 크기의 알갱이를 따로 모래라고 부른다. 머리카락 지름이 대략 0.08㎜라면 모래알 크기를 얼추 가늠할 것이다. 사막이나 해변에 깔린 모래의 70%는 석영이다. 지각에 가장 풍부한 두 원소인 산소와 규소로 석영(SiO2)이 만들어진 덕분에 세상에 모래가 지천이다. 도시에 들어선 거의 모든 건축물과 도로는 콘크리트 기반으로 건설된다. 콘트리트는 위에서 누르는 힘에는 잘 버티지만 구부리면 쉽게 파괴된다. 이런 단점을 상쇄하고자 사람들은 콘크리트에 철근을 섞기 시작했다. 19세기 중반 프랑스에서 등장한 이 기법은 곧 세계로 퍼져나갔다. 1870년대 미국 뉴욕주에 최초의 콘크리트 건물이 들어섰다. 그 뒤로 도시는 확장을 거듭했다. 두바이와 홍콩 및 세계 곳곳의 마천루가 하천과 해안의 모래를 속속 빨아들인다. 반면 빵은 밀가루로 만든다. 질감을 부여하는 글루텐 단백질이 든 빵은 쫀득하다. 한국인들도 꽤 빵을 먹는다. 내가 처음 먹어본 빵은 원조 옥수수 알갱이가 고소하게 씹히는 투박한 것이었다. 내가 어릴 적에는 농가에서 밀을 많이 재배했다. 먼지 풀풀 날리는 논길을 걷다 밀 까불어 한참 씹으면 식감이 껌처럼 변했던 기억이 새롭다. 곡물인 밀은 공기 중 이산화탄소와 물을 재료로 한다. (하략) https://www.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211030300015
1665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1-03
6120
동영상
동영상
김홍표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64
[칼럼] 이익을 정당화하지 않고 도덕적 판단을 내리려면
위치 확인
[김경일, 심리학과 교수] 살아가면서 많은 경우 우리가 맞이하게 되는 딜레마 중 하나가 바로 윤리와 실리 사이의 갈등이다. 손해가 되는 윤리적인 안을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이익을 좀 더 추구하는 쪽으로 결정할 것인가? 그런데 이러한 선택이 프레임 상의 매우 사소한 변화에 의해 얼마든지 바뀔 수 있음을 보여주는 절묘한 실험 연구가 있다. 영국 런던 비즈니스 스쿨(LBS)의 조너선 버먼(Jonathan Z. Berman) 교수와 보스턴 대학의 대니엘라 쿠포(Daniella Kupor) 교수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연구진은 이익을 추구하는 안을 선택하는 경향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정도를 어느 정도 명시하느냐에 따라서 얼마나 달라질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연구를 고안했다. 연구진은 누구에게도 피해가 가지 않는 옵션과 많은 사람을 구할 수 있지만 동시에 일부 사람들을 잃거나 다치게 하는 옵션이 있을 때 사람들은 전자를 선택하는 경향이 굉장히 강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관찰했다. 즉 사람들은 이 문제를 도덕적 선택의 문제로 보고 따라서 누구에게도 피해가 가지 않는 도덕적 판단에 무게를 더 둔 것이다. 하지만 두 대안 모두 일정 수의 사람을 잃는 옵션일 경우 사람들은 일종의 트레이드 오프적 사고를 한다. 즉 더 많은 사람들을 구하는 옵션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심지어 그 안을 선택함으로써 더 많은 사람을 잃더라도 말이다. (하략) https://www.mk.co.kr/news/business/10513662
1663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1-03
6058
동영상
동영상
김경일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62
[칼럼] 생명·인권 가장 우선시 축제문화 만들자… 카타르 월드컵부터
위치 확인
[이현서, 스포츠레저학과 교수] 어떤 말로도 이 참담함을 표현할 수 없는 '이태원 참사' 사건이 발생한 지 삼 일이 지났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며, 소중한 가족을 잃은 유가족 분들께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리며 오늘 이야기를 시작하고자 한다. 여기서 핼러윈 축제 중에 발생한 참사의 원인 규명과 다중밀집사고의 재발 방지책을 논하기보다 축제를 즐기는 놀이문화에 대해 짚어보고자 한다. 축제 또는 이벤트란 '바람직한' 특정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특정 시간과 장소에 사람들이 모이도록 인위적으로 벌이는 행사를 가리킨다. 이벤트를 방문하는 것은 평소에 느낄 수 없는 무언가 특별하고 멋진 것을 체험할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이며, 이벤트 운영자는 방문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질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것에 집중한다. 그런데 이벤트 방문자나 운영자가 가장 우선시해야 하는 원칙은 이벤트 중에 자신과 타인의 생명을 안전하게 지키고 인권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것을 지키지 못할 때, 이벤트는 절대 '바람직한' 목적을 실현할 수 없다. 축제의 재미에 빠져 자칫 이 원칙을 놓치기 쉽지만, 이벤트 방문자나 이벤트와 직·간접적으로 관계된 모든 사람이 절대 놓치지 말아야 하는 제일 중요한 가치이다. 이달 20일부터 한달간 세계인 축제 대회 준비하며 외국인 노동자 학대 10년간 네팔인 등 6500명 사망 충격 11월에 또 하나의 축제가 시작된다. 20일에 시작해서 한 달간 지속하는 카타르 월드컵대회이다. 국제축구연맹(FIFA)에 의하면 2018년 러시아 월드컵을 시청한 인구가 35억7천200만명에 이르러 세계 인구의 절반보다 많다고 하니, 월드컵대회를 세계인의 축제라고 부를 수 있다. 우리나라 대표팀은 1986년부터 10회 연속 월드컵대회 본선에 진출하면서 국민적 관심을 끌고 있다. 더구나 유럽에서 인정받는 손흥민과 김민재 선수가 대표팀에 합류하여 이번에 좋은 경기력을 보여줄 것이라는 기대가 높다. (하략)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21101010000047
1661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1-02
4447
동영상
동영상
이현서 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