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LANGUAGE
ENGLISH
CHINESE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대학정보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전공자율선택제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검색 열기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전공자율선택제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모바일 메뉴 닫기
KOREAN
ENGLISH
CHINESE
아주광장
HOME
아주광장
대학정보
입학
교육
연구/산학
학사지원
대학생활
아주광장
미디어센터
공지사항
캘린더
미디어센터
커뮤니티
아주인칼럼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아주인칼럼
Total
2005건
,
251
/
401
게시글 검색
검색분류선택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검색
755
[칼럼] 이젠 빅데이터를 넘어야 할 때
위치 확인
방대한 데이터를 의미하는 빅데이터라는 말이 일상어가 됐지만 그 뜻이 천차만별이고 종종 혼란스럽다. 정보량의 폭증은 엄청난 수준이어서, 매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2년 동안 전 세계 휴대전화를 통해 오간 데이터의 총량이 그 이전 인류 문명 2000년 동안 축적된 정보량보다 많다고 한다. 확보된 방대한 빅데이터에는 유의미한 정보와 무의미한 정보가 혼재돼 있다. 여기서 유의미한 정보를 끄집어내기 위해 각종 수학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하략) 2017년 8월7일 세계일보 기사 원문보기
754
작성자
이솔
작성일
2017-08-07
8216
동영상
동영상
박형주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753
[칼럼] 탈원전, 발전원 전환 효율성 따져봤나
위치 확인
에너지는 깊고 큰 강물처럼 소리 없이 흐르면서 우리 삶을 뒷받침한다. 그 실질가치는 시장가격만으로는 평가할 수 없는 민생 필수재이다. 국가에너지정책은 당연히 그 공공성을 잘 반영하고 안정된 공급기반 확보를 전제로 수립돼야 한다. 모든 사회 가치관을 반영하는 복합과학적 접근이 필수적이다. 지금 전개되고 있는 탈(脫)원전 논쟁은 원전가치에 대한 상반된 의견 간의 과격성이 문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원전정책은 지금 당장 결정을 해도 최소 10년, 최장 60년 이후에나 그 영향을 알 수 있다. 그 기간에 있을 수 있는 에너지시장 변화와 기술혁신의 폭은 누구도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런데도 논쟁 당사자들은 자기논리만이 과학적 진실이라고 억지를 피운다. 이들이 각자 주장하는 예상 전력가격과 에너지안보 논리는 모두 비(非)과학적일 수 있다. (하략) 2017년 8월3일 한국경제신문 기사 원문보기
752
작성자
이솔
작성일
2017-08-03
8417
동영상
동영상
최기련.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751
[칼럼] 손석희 앵커는 '사랑의 매개자'
위치 확인
우리 서울문화재단에는 이런저런 이름의 카페가 여럿 있는데요, 그렇다고 건물에 다수의 커피숍이 입주해있는 풍경을 연상하시면 곤란합니다. 옹기종기 모여 차 마시며 대화를 나누면 바로 거기가 카페죠. '즐거운 직장 만들기'가 큰 주제라서 저는 직원들과 자주 '인증샷'을 찍습니다. 나중에 재단을 떠나는 날 사진들로 편집한 뮤직비디오를 틀어주며 석별의 자리를 웃음꽃밭, 혹은 눈물바다로 만들 속셈인 거죠. . . . 하략 2017년 7월30일 뉴스1 기사 원문보기
750
작성자
정우준
작성일
2017-07-31
8659
동영상
동영상
659110c00949c80bea03681f23a4cc38.gif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749
[칼럼] 나무는 죽음을 품고 산다
위치 확인
시인 김수영이 노래했듯이 풀은 쉽사리 눕는다. 인간의 경험이 대뇌 피질의 신경세포 시냅스에 각인되어 있는 까닭에 우리는 풀과 나무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안다. 경계가 다소 모호한 대나무(대나무는 볏과의 풀이다)와 담쟁이덩굴(나무다) 같은 식물을 논외로 치면 대부분의 풀은 한 해가 가기 전에 땅 위로 솟아난 부위인 줄기가 죽으면서 사라진다. 죽기 전에 풀은 서둘러 꽃을 피우고 많은 양의 씨를 주변 여기저기 퍼뜨려 놓아야만 다음을 기약할 수 있다. 한 세대가 빠르게 지나가기 때문에 풀의 삶은 간소할 수밖에 없다. 반면 나무는 자신의 내부에 죽음을 안고 살아간다. (하략) 2017년 7월26일 경향신문 기사 원문보기
748
작성자
이솔
작성일
2017-07-26
8507
동영상
동영상
김홍표.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747
[칼럼] 판문점은 응답하라
위치 확인
판문점은 행정구역상으로 경기도 파주시 진서면에 위치한 군사분계선 상에 있는 취락지역으로 널문리라고 한다. 8ㆍ15광복 이전 행정구역으로는 경기도 장단군 진서면 어룡리였으나, 지금은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이 이곳에서 조인되면서 명칭은 UN측과 북한 측의 ‘공동경비구역(JSA: Joint Security Area)’으로 불리고 있다. 휴전선 내 유일한 유엔ㆍ북한 공동경비지역으로서 남ㆍ북한의 행정관할권 밖에 있는 불가침의 지역이다. (하략) 2017년 7월24일 경기일보 기사 원문보기
746
작성자
이솔
작성일
2017-07-25
8408
동영상
동영상
김영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